안녕하세요. 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에 큰 변화가 있었는데요, 바로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소식입니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서울의 각 지역별로 부동산 시장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강남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외곽 지역은 아직 반등세가 미미한 상황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서울 아파트 시장의 변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남3구와 '마용성'의 상승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3구(서초, 송파, 강남구)와 '마용성'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초구에서는 해제 전 고점 대비 100% 이상 가격에서 거래된 비중이 44%에서 57%로 급등했으며, 송파구와 강남구도 각각 18%에서 26%, 42%에서 49%로 크게 올랐습니다. 강동구도 9%에서 16%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 해제 효과가 인접 지역으로 확산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용성' 지역 역시 매수세가 옮겨붙고 있습니다. 성동구는 전 고점 대비 90% 이상 100% 미만 거래가 46%에서 56%로 증가했고, 100% 이상 거래도 15%에서 18%로 늘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강남 거래의 활발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외곽 지역의 부진한 반등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아직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에서는 집주인들이 호가를 높이고 있지만, 실제 상승 거래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노원구는 토허제 해제 전후 거래량에 큰 변화가 없고, 전 고점 대비 100% 이상 거래 비중도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동대문구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서울 전체 거래 동향
서울 전체적으로는 토허제 해제 전후 거래가격 구간에서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전 고점 대비 거래가격 구간을 70% 미만, 70% 이상 80% 미만, 80% 이상 90% 미만, 90% 이상 100% 미만, 100% 이상으로 나눴을 때, 해제 전후 각 구간의 비중은 거의 동일했습니다. 이는 서울 전체적으로는 아직 큰 변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경기도 아파트 시장의 회복
한편, 경기도 아파트 거래량은 빠르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2월 한 달 동안 경기도 아파트 거래량은 9105건을 기록했으며, 이는 6개월 만에 1만 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과천의 경우 2월 거래량이 1월의 2배를 넘어서며, 경기도 인기 지역의 집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 거래량 증가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미래 전망
서울 아파트 시장은 현재 강남3구와 '마용성'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외곽 지역은 아직 반등세가 미미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강남권의 매수세가 인접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외곽 지역은 아직 매수세가 활발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경기도 아파트 시장의 회복세는 서울 외곽 지역의 부진한 반등세와 대조적입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강남권과 '마용성' 지역의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외곽 지역은 매수세가 더욱 활발해질 때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도 아파트 시장의 회복세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서울 아파트 시장의 미래를 전망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동산 시장은 항상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부동산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관련기사보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2445
“강남發 온기 '마용성'까지…경기도 과천도 거래량 2배↑”[집슐랭]
서울시가 일부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이후 서울 권역별로 뚜렷한 온도 차가 나타나고 있다. 강남3구와 한강 인접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상승세가 이어지는 반면, 외곽
n.news.naver.com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 부동산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든든전세주택, 안전한 주거 선택의 기회 (0) | 2025.03.19 |
---|---|
일본 부동산 투자, 왜 매력적인가? (4) | 2025.03.18 |
주택 공급 부족, 어떻게 해결할까? (2) | 2025.03.16 |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화와 영향 (0) | 2025.03.15 |
서울 아파트 보유세 상승과 그 영향 (0) | 2025.03.14 |